헤이폴 안내
헤이폴의 새로운 소식을 가장 빠르게 전합니다.
서비스에 대해, 사용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1:1문의를 이용해주세요.

[기타] 심리학 특집 3탄 : 거짓말의 심리학

2014.01.10
심리학 특집 3탄! 사람들은 거짓말을 할 때 어떤 현상들이 벌어질까요? 사람들이 거짓말을 할 때 반응을 알고 있다면, 쉽게 남들에게 속는 일은 없을까요?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 은 하루 8분에 1번 꼴로 200번의 거짓말을 한다고 합니다. 자신은 정직한 사람이라고 스스로 생각하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거짓말을 하면서 살고 있는데요, 그 모든 거짓말을 다 알아차린다면… 그것도 딱히 행복한 삶은 아닐 것 같습니다. “알면서도 속아준다.”는 것이 괜히 생긴 말은 아닌 것 같네요, 하지만 대놓고 하는 거짓말,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왠지 억울하지 않으시겠어요? 자, 사람들이 거짓말을 할 때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인포그래픽으로 함께 들여다 볼까요? :D

심리학 특집 3탄 : 거짓말의 심리학





당신이 거짓말을 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윤리와 도덕적인 문제와 상관없이, 알게 모르게 우리는 매일 거짓말을 합니다.

하지만 의도적으로 누군가를 속일 때, 당신의 뇌에서 어떤일이 일어날까요?

그리고 어떻게 눈 앞에서 하는 거짓말을 알아 챌 수 있을까요?


 

우리의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1)이마엽 (대뇌반구의앞에있는부분으로기억력, 사고력등을주관하는기관)이활성화됩니다 : 이부분은진실을숨기거나억제하는데관여하고있어요.

2)대뇌변연계 (후각, 감정, 동기부여, 행동 등 다양한 자율신경기능에 관여하는 일련의 대뇌구조물 집합) 가 활성화됩니다. : 이 부위는 남을 속일 때 불안감이 증가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지요.

3)측두엽 (청각수용영역인피질측면부.) 이활성화됩니다. : 기억을저장하고기억해내는데연관이있는부위인데요, 이부분은정서적감상이제대로되어있는지확인하는데관여합니다.

4)어떤사람이진실을말할때, 대안적인인지과정이발생합니다. : 사람들이진실을말할때는대체적으로뇌에서거짓을숨기거나불안을줄이기위한뇌활동이거의일어나지않겠죠.

 

연구결과! 조절하지못할정도의거짓말쟁이들은 26%나높은비율로전전두엽에문제를가지고있다고합니다.

그래서그사람들은실제로연관성이전혀없는것들사이에연관관계를만드는데탁월하다고해요.

거짓말탐지기는대뇌변연계의활성화정도를측정하는데, 그것은대상자가느끼는불안감이죠.

그래서거짓말탐지기는만약그대상자가특별히고요하거나불안하다면별쓸모가없습니다.

거짓말탐지기의정확도는 50~90% 이죠, 그래서법정에서증거물로채택되는것에제한이있습니다.



동공의 움직임과 거짓말

 

눈동자의 움직임은 그 사람이 어떤 뇌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게 해 줍니다.

어디를 보는지에 따라서 정보를 만들어 내거나, 아니면 단순히 기억을 얘기하는 것인지를 알 수 있어요.

 

왼쪽 위를 볼 때 : 보라색 소와 같이 만들어진 이미지를 얘기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왼쪽을 볼 때 : 낼 수 있는 가장 고음의 소리와 같이 만들어진 소리를 생각해보라고 하면 이렇게 동공이 움직이죠.

왼쪽 아래를 볼 때 : 감정이나 냄새 혹은 맛에 대해서 말해보라고 한다면 동공은 왼쪽 아래를 볼 것입니다.

오른쪽 위를 볼 때 : 시각적인 이미지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살고 있었던 집 색깔이 어떻게 되나요?)

오른쪽을 볼 때 : 소리를 기억해 내고 있습니다. (엄마 목소리는 어때요?)

오른쪽 아래를 볼 때 : 자기 스스로에게 말을 할 때는 이렇게 되요.

 

보통은 이렇게 되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렇지는 않아요.

그래도 말을 만들어 내는지, 기억해 내는지 한 번 살펴보는 정도로 거짓말을 판단할 수 있겠죠.



일상의 거짓말

 

모든 사람들은 하루에 한 두번은 거짓말을 하죠, 과자를 먹거나 이빨을 닦는 것과 거의 같은 수준이에요.

남자와 여자는 비슷한 수준으로 거짓말을 해요.

일주일 동안, 사람들은 1대1로 만나는 사람들과 30% 정도 거짓말을 한다고 하네요.

대학생들은 어머니에게 두 번에 한 번은 거짓말을 한다고 합니다.


 

누가 거짓말을 하나?

 

65%의 사람들이 전세대에 비해서 우리는 덜 정직하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더 정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2%에 불과한데 말이에요.

15%의 사람들이 지난 달에 직장에서 거짓말을 했다고 하는데, 그 중 59%의 사람들이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다고 해요.

79%의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이득을 얻는것이 진실이나 정직보다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고 하네요.

94%의 사람들이 정치인은 직업적으로 거짓말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사장님은 92%, 연예인은 91%, 법조인은 77%, 의사들은 27% 라고 답했다고 해요.

 


도박할 때 허풍떠는 것을 어떻게 잡아낼까?

 

거짓말을 잡아내는 것은 어렵지만, 피할 수 있는 기술은 있습니다.

포커를 치는 것은 거의 유일하게 거짓말을 하는 것이 장려되는 상황이죠. 그래서 사람들은 마음놓고 거짓말을 합니다.

 

기준을 만들기 : 

프로인가? 아마츄어인가?

이 것은 대놓고 당신을 엿먹이거나 아니면 읽기 쉽다는 얘기죠, 보통은 어떻게 행동하는지? 그것을 아는 것이 당신이 거짓말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발은 가장 많은 것을 알게 합니다. 발은 위기를 가장 잘 눈에 띄게 알게 하죠.

어깨를 들썩이기 : 거짓말이 주는 스트레스는 어깨를 굳게 만듭니다. 상대편이 어깨를 계속 들썩이면, 허풍을 치고 있다는 얘기죠.

몸 여기저기를 만지기 : 얼굴이나 목을 계속 만지고 있나요? 그 행동들은 스트레스를 받은 몸 여기저기를 안정시키기 위한 행동이에요, 잘 보시고 피해가세요.

한숨쉬기 : 혈압이 상승했네요. 거짓말을 할 때는 불안해서 산소가 부족해집니다. 한숨을 쉰다는 것으로 허풍을 떤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높거나 낮은 자신감을 보여주기 : 두 가지 바디랭귀지는 굉장히 다릅니다.

손깍지를 끼는 것은 낮은 자신감을 얘기하고 손가락을 뻗어서 맞대고 있는 것은 바로 높은 자신감을 표현하는 거죠.



http://visual.ly/psychology-lying

  • P

    • 님 질문

    * 최소 개에서 최대 개를 선택해 주세요.

    * 최소 에서 최대 사이의 값을 입력해 주세요.

    * 최소 에서 최대 개의 순위를 선택해 주세요.

    이 투표는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하신 회원님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투표입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지금 바로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본 문항은 상세결과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성별

    연령별

  • 4
    slider 결과
    장비, 시설 및 인원 수가 많은 것
    합계 100
    전혀 동의하지 않음 보통 매우 동의함
    온라인 쇼핑은 물건을 사는 것 이외에 다른 즐거움을 준다